맨위로가기

SN 1006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N 1006은 1006년에 발생한 초신성으로, 여러 문화권에서 관측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초신성은 송나라의 역사서에 기록되었으며, 달의 절반 정도 밝기로 밤에도 관측 가능했다. 동아시아, 중동, 유럽 등지에서 관측되었으며, 특히 세인트 갈 수도원의 기록은 Ia형 초신성임을 시사한다. SN 1006의 잔해는 PKS 1459-41로 확인되었으며, 엑스선, 가시광선, 감마선 등 다양한 파장에서 관측되고 있다. 잔해는 지구에서 약 7,175광년 거리에 있으며, 두 백색 왜성의 병합으로 인한 Ia형 초신성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SN 1006은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남극 얼음에서 흔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초신성 - 케플러 초신성
    케플러 초신성은 1604년에 관측된 밝은 초신성으로, 여러 문명에서 기록되었으며, Ia형 초신성으로 추정되고 천문학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 초신성 - 초신성 1987A
    초신성 1987A는 1987년 대마젤란 은하에서 발생한 핵붕괴 초신성으로, 푸른 초거성이 폭발하여 중성미자 폭발이 먼저 관측되었고, 중성자별로 추정되는 밝은 먼지구름과 세 개의 고리가 발견되었다.
SN 1006
관측 정보
이름SN 1006
SN 1006 초신성 잔해의 가색 엑스선 이미지
시대J2000
유형Ia형 (추정)
SNR 유형껍질
모체 은하우리 은하
별자리늑대자리
적경15시 2분 8초
적위-41° 57′
은경/은위327.6+14.6
발견1006년 4월 17일 ~ 1006년 5월 1일
최대 밝기-7.5 등급
거리7.2 킬로광년
선조별알려지지 않음
선조별 유형알려지지 않음
B-V 색지수일본 관측자들은 가시 스펙트럼에서 청백색으로 묘사함
참고 사항기록된 역사상 가장 밝은 초신성이며, 따라서 망원경 이전 시대에 가장 많이 기록됨
선행 사건SN 393
후행 사건SN 1054

2. 역사적 기록

SN 1006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관측되었으며, 각 지역의 문화와 관점에 따라 다양한 기록을 남겼다.


  • 알리 이븐 리드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과학책인 테트라 비블로스에 대한 주석에서 이 초신성을 금성보다 2.5~3배 큰 원형 천체로 묘사하고, 그 빛의 강도는 달빛의 1/4배 정도였다고 기록했다. 그는 또한 이 초신성이 남쪽 지평선에 낮게 위치한다고 언급했으며, 일부 점성가들은 이 사건을 역병기근의 조짐으로 해석했다.[20]
  • 가장 북쪽에서 기록된 것은 북위 47.5°인 스위스의 세인트 갈 수도원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는데, "놀라운 광경이었다. 때때로 축소되고 때로는 팽창하고 때로는 소멸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이 초신성이 Ia형 초신성이라는 증거로 간주된다.[22]
  • 이란철학자 이븐 시나는 자신의 저서 《치유의 서》에서 이 초신성을 관찰하고, 꼬리가 없고, 약 3개월 동안 점점 희미해지다가 사라졌으며, 불꽃을 튀기는 듯이 반짝였고 매우 밝았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이 변했다고 기록했다.[8]
  • 송나라의 역사서인 송사에는 1006년 5월 1일에 이 초신성이 저수자리(이리자리센타우루스자리 사이)에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 밝기는 달의 절반 정도였고, 밤에도 물체를 볼 수 있을 정도였다. 당시 송나라의 천문을 담당하는 관리였던 저우커밍은 이 별을 상서로운 별로 해석하여 국가에 큰 번영을 가져올 것이라고 황제에게 보고했다.
  • 이 초신성의 초기 형태에는 두 가지 뚜렷한 단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반에는 3개월 동안 아주 밝게 빛났다. 그 후 사라졌다가 18개월 동안 다시 나타났다.
  • 예멘에서는 이 초신성의 초기 관측 기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2주 앞선 4월 17일에 관측된 것이다.[10]
  • 미국 애리조나주에 남아 있는 암각화에는 이 초신성을 그린 것이 아닌가 하는 표현이 보인다.[18]

2. 1. 한국

송나라의 역사서인 송사에는 1006년 5월 1일에 이 초신성이 저수자리(이리자리센타우루스자리 사이)에 나타났다는 기록이 있다.[18] 밝기는 달의 절반 정도였고, 밤에도 물체를 볼 수 있을 정도였다.[18] 당시 송나라의 천문을 담당하는 관리였던 저우커밍은 이 별을 상서로운 별로 해석하여 국가에 큰 번영을 가져올 것이라고 황제에게 보고했다.[18]

2. 2. 일본

일본에서는 음양사 아베 요시마사가 이 초신성을 관측했다.[18] 1230년(관희 2년) 후지와라노 사다이에는 명월기에서 "객성"(=익숙하지 않은 별. 이때의 객성은 혜성이었다)의 출현에 대해 적었는데, 과거 객성의 예로 SN 1054(게성운)와 SN 1006, SN 1181을 언급했다.[18]

2. 3. 이집트

알리 이븐 리드완은 프톨레마이오스 왕국의 과학책인 테트라 비블로스에 대한 주석에서 이 초신성을 "금성보다 2.5~3배 큰 원형 천체"로 묘사했다. 그는 하늘은 그 천체가 내는 빛 때문에 빛나고 있었으며, 그 빛의 강도는 달빛의 1/4배 정도였다고 기록했다.[20] 그는 또한 이 초신성이 남쪽 지평선에 낮게 위치한다고 언급했다. 일부 점성가들은 이 사건을 역병기근의 조짐으로 해석했다.[20]

2. 4. 스위스

스위스 세인트 갈 수도원의 연대기에는 이 초신성이 "놀라운 광경이었다. 때때로 축소되고 때로는 팽창하고 때로는 소멸되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22] 이는 이 초신성이 Ia형 초신성이라는 증거로 간주된다.[7]

2. 5. 기타 지역

이란철학자 이븐 시나는 자신의 저서 《치유의 서》에서 이 초신성을 관찰하고 그 특징을 상세히 기록했다. 그는 이 천체가 꼬리가 없고, 약 3개월 동안 점점 희미해지다가 사라졌으며, 불꽃을 튀기는 듯이 반짝였고 매우 밝았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색이 변했다고 기록했다.[8] 예멘에서는 이 초신성의 초기 관측 기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2주 앞선 4월 17일에 관측된 것이다.[10] 미국 애리조나주에 남아 있는 의 암각화에는 이 초신성을 그린 것이 아닌가 하는 표현이 보인다.[18]

3. 초신성 잔해

SN 1006의 초신성 잔해는 1965년 더글러스 K. 밀른과 F. F. 가드너가 파크스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전파원 PKS 1459-41과의 연관성을 입증하면서 처음 확인되었다.[24] 1976년에는 X선 및 가시광선 성분도 발견되었다. 이 잔해는 람다별 근처에 위치하며, 최신 관측에 따르면 지구에서 2.2킬로파섹(약 7,175광년) 거리에 있고 지름은 약 20파섹(약 65광년), 팽창 속도는 초속 2,800km이다. 모든 파장 영역에서 PKS 1459-41로 불린다. 2006년에는 SN 1006 출현 1000년을 기념하여 일본의 X선 천문위성 스자쿠(すざく)로 잔해를 관측했다.

3. 1. 특징

SN 1006의 잔해는 1965년 더그 밀네와 프랭크 가드너가 파크스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PKS 1459-41과의 연결을 증명하면서 확인되었다.[24] 잔해는 베타 루피 근처에 위치하며,[25] 지름이 약 30분각인 원형 껍질 모양이다. 엑스선과 가시광선 방출이 감지되었으며, 2010년 HESS 감마선 관측소는 이 잔해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 폭발이 감지되었다고 발표했다.[26]

SN 1006 잔해 팽창 비교


잔해 SNR G327.6+14.6은 지구로부터 약 2.2킬로파섹(kpc) 거리에 있으며, 실제 지름은 약 20파섹(약 65광년)이다. 이 초신성 잔해는 초속 2,800km로 팽창하고 있다. Ia형 초신성의 잔해에서 예상되는 것처럼, 관련된 중성자별이나 블랙홀은 발견되지 않았다.[14] 2012년 SN 1006 초신성에서 살아남은 동반성을 찾기 위한 프로젝트에서는 아무런 천체도 발견하지 못했다.[27] 이는 SN 1006이 두 개의 백색왜성이 합쳐진 이중 축퇴 전구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15]

3. 2. 연구

1965년 더그 밀네와 프랭크 가드너는 파크스 전파 망원경을 사용하여 SN 1006의 초신성 잔해와 PKS 1459-41과의 연결을 증명했다.[24] 이 잔해는 베타 루피 근처에 위치하며,[25] 엑스선이 감지되기도 했다. 2010년 HESS 감마선 관측소는 이 잔해에서 매우 높은 에너지의 감마선 폭발을 감지했다고 발표했다.[26] 2012년 SN 1006 초신성에서 살아남은 동반성을 찾기 위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나, 아무런 천체도 발견되지 않았다.[27] 이는 SN 1006이 두 개의 백색왜성이 합쳐져 발생한 Ia형 초신성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4. 지구에 미치는 영향

Ia형 초신성은 지구로 상당한 양의 감마선을 방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28]. 그러나 SN 1006은 지구에서 1 킬로파섹이 넘는 거리에 있어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극 얼음 속 질산염 퇴적물에서 SN 1006의 흔적이 발견되었다[29].

참조

[1] 저널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2003
[2] 보도자료 Astronomers Peg Brightness of History's Brightest Star https://web.archive.[...] National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2009-01-12
[3] 서적 The Celestial handbook Dover 1978
[4] 뉴스 Ancient Rock Art Depicts Exploding Star http://www.space.com[...] 2006-06-05
[5] 서적 Supernova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6] 웹사이트 E-codices – Bibliothèque virtuelle des manuscrits en Suisse http://www.e-codices[...]
[7] 저널 Evidence for a supernova of A.D. 1006 1965
[8] 저널 An Arabic report about supernova SN 1006 by Ibn Sīnā https://doi.org/10.1[...] Wiley Online Library (2017) 2016
[9] 뉴스 Did ancient Americans record a supernova? http://www.skyandtel[...] 2018-04-14
[10] 저널 Supernova SN 1006 in two historic Yemeni reports 2015-04
[11] 저널 The supernova of A.D. 1006 1965
[12] 저널 A catalogue of 294 Galactic supernova remnants 2014
[13] 저널 First detection of VHE γ-rays from SN 1006 by HESS http://adsabs.harvar[...] 2010
[14] 서적 Cosmic Catastrophes: Supernovae, gamma-ray bursts, and adventures in hyperspac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15] 저널 No surviving evolved companions of the progenitor of SN 1006 2012
[16] 웹사이트 Will a nearby supernova endanger life on Earth? https://web.archive.[...] 2006-03-30
[17] 뉴스 Ancient supernovae found written into the Antarctic ice https://www.newscien[...] 2009-03-09
[18] 뉴스 Ancient Rock Art Depicts Exploding Star http://www.space.com[...] 2006-06-06
[19] 보도자료 National Optical Observatory Press Release for March 2003 http://www.noao.edu/[...]
[20] 서적 Supernova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5
[21] 저널 The SN 1006 Remnant: Optical Proper Motions, Deep Imaging, Distance, and Brightness at Maximum http://arxiv.org/abs[...] 2003-03
[22] 웹인용 e-codices – Bibliothèque virtuelle des manuscrits en Suisse http://www.e-codices[...] 2023-07-08
[23] 저널 Supernova SN 1006 in two historic Yemeni reports https://ui.adsabs.ha[...] 2015-04-01
[24] 저널 The supernova of A.D. 1006 https://ui.adsabs.ha[...] 1965-11-01
[25] 웹인용 https://arxiv.org/ab[...]
[26] 저널 First detection of VHE γ-rays from SN 1006 by HESS https://ui.adsabs.ha[...] 2010-06-01
[27] 저널 No surviving evolved companions of the progenitor of SN 1006 https://ui.adsabs.ha[...] 2012-09-01
[28] 웹인용 Wayback Machine http://www.tass-surv[...] 2023-07-08
[29] 웹인용 Ancient supernovae found written into the Antarctic ice https://www.newscien[...] 2023-07-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